본문 바로가기

Sparta/TIL

24.01.12 TIL - 동기/비동기

어제 콜백함수에 대해 정의해 봤는데 아직 헷갈리는 점이 있어 오늘 강의과 구글링을 통해 좀더 이해하기 쉽게 확고한 개념으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동기 vs 비동기

동기는 '동시에 일어나는'이라는 뜻이고 비동기는 그의 반댓말이다. 하지만 동기비동기의 단어를 그렇게 정의하면 오히려 혼란만 생겼다. 영어를 우리말로 번역해오면서 늬앙스 차이가 발생했고 이름으로 그것을 파악하면 더 헷갈리게 되었다.

 

동기는 현재작업의 요청과 응답이 아닌, 현재 작업의 응답과 다음 작업의 요청이 동시에 일어난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러니 작업의 순서가 정해져 있는 것이고 반면에 비동기는 작업의 순서가 보장되지 않고 동시에 일어나는 것이다.

 

그렇기에 비동기의 장점인 기다리지 않고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점을 살리고, 비동기를 동기처럼 보이게 만드는 Promise나 async/await를 이용해서 작업의 순서를 개발자가 정하는 것이다.

 

git push 설정

이 때까지 git flow명령어를 써오다가 그냥 명령어를 쓰느라 잊고 있었던 git push 설정을 했다.

git config --global push.default current

 

이 명령어를 이용해 현재 브랜치와 같은 이름으로 리모트에 푸시한다.

 

origin이후로는 생략한 git push만 치면 push를 할 수 있어 이름에서 오탈자가 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재 브랜치가 리모트 저장소에 존재하지 않는 브랜치라면 업스트림 정보까지 자동으로 생성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git pull을 했을 때 upstream을 설정하라는 문구가 뜹니다. 그러므로 push.default=current로 설정된 경우 한 번은 git push -u를 사용해서 업스트림 정보를 생성해줘야 git pull이 제대로 동작합니다. 그게 귀찮다면 git push 대신 항상 git push -u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https://velog.io/@leejh3224/%ED%8C%81-%ED%95%AD%EC%83%81-%ED%98%84%EC%9E%AC-%EB%B8%8C%EB%9E%9C%EC%B9%98%EB%A1%9C-%ED%91%B8%EC%89%AC%ED%95%98%EA%B2%8C%EB%81%94-%EC%84%A4%EC%A0%95%ED%95%98%EA%B8%B0

 

[팁] 항상 현재 브랜치로 푸쉬하게끔 설정하기

간단한 설정 한 줄로 로컬 브랜치를 트래킹 브랜치(upstream)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it-config 문서] 의하면

velog.io

 

https://velog.io/@daybreak/%EB%8F%99%EA%B8%B0-%EB%B9%84%EB%8F%99%EA%B8%B0-%EC%B2%98%EB%A6%AC

 

동기, 비동기 처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인 동기, 비동기 처리에 대해 많은 글이 있지만 정확하게 와닿지가 않았다. 최대한 내가 이해한 방식대로 서술해 보려고 한다. 동기 (Synchronous)는 요청과 동시에 일어난다

velog.io

 

'Sparta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01.16 TIL - 배열 내장 메소드  (1) 2024.01.16
23.01.15 TIL-Javascript로 별점 기능 만들기  (0) 2024.01.15
24.01.11 TIL - 콜백함수(1)  (2) 2024.01.11
24.01.10 TIL-Git  (1) 2024.01.10
24.01.09 TIL - this(2)  (1) 2024.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