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소창에 naver.com을 치면 일어나는 일
1) IP주소
- IP 주소란 많은 컴퓨터들이 인터넷 상에서 서로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받은 식별용 번호라고 생각하면 된다.
- 현재는 IPv4 버전(32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번씩은 들어봤을 법한 127.0.0.1 같은 주소를 말한다
- 시간이 갈수록 IPv4 주소의 부족으로 IPv6가 생겼는데, 128비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IP 주소가 부족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2) 도메인 네임
- IP 주소는 12자리의 숫자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이 외우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기에 문자로 표현한 주소가 필요하다
- 도메인 네임은 'naver.com'처럼 몇 개의 의미있는 문자들과 .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사람의 편의성을 위해 만든 주소이므로 실제로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도메인 네임과 함께 해당하는 IP 주소값을 한 쌍으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DNS (Domain Name System) 이라고 부른다. 도메인 네임으로 입력하면 DNS를 이용해 컴퓨터는 IP 주소를 받아 찾아갈 수 있다.
3) 순서
1)) 사용자가 도메인네임을 입력한다.
2)) 사용자가 입력한 URL 주소 중에서 도메인 네임(Domain Name) 부분을 DNS 서버에서 검색하고, DNS 서버에서 해당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아 사용자가 입력한 URL 정보와 함께 전달한다.
3)) 페이지 URL 정보와 전달받은 IP 주소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HTTP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HTTP 요청 메시지는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거쳐 해당 IP 주소의 컴퓨터로 전송된다.
4)) 이렇게 도착한 HTTP 요청 메시지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 URL 정보로 변환되어 웹 페이지 URL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한다.
5)) 검색된 웹 페이지 데이터는 또 다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HTTP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거쳐 원래 컴퓨터로 전송된다.
6)) 도 착한 HTTP 응답 메시지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 데이터로 변환되어 웹 브라우저에 의해 출력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된다.
2 -1. 리피터, 허브, 브리지, 라우터에 대해 설명해라
1) 리피터 : 긴 케이블일수록 신호가 약해지기 때문에 신호를 멀기 보내기 위한 증폭 장치이다. 지금은 다른 네트워크 장비에 기본적으로 리피터 기능이 탑재되어있어 사용하지 않는다.
2) 허브 : 리피터 역할을 하며, 기존 리피터와 다르게 여러 장비를 연결할 수 있다. 특징으로는 허브는 CSMA/CD 방식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장비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A가 데이터를 전송 중일 때 B도 데이터를 보내면 콜리전(충돌)이 일어나게 된다.
3) 브리지 :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서로 연결해 주는 장치이다. 하나의 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작은 네트워크들을 세그먼트라고 표현하고, 그 세그먼트를 연결해주는 것이 브리지, 스위치 등 같은 장비들이 있다. 브리지는 5가지 기능이 있는데,
i. Learning : A라는 호스트가 데이터를 보내면 A의 맥 어드레스를 브리지의 맥 어드레스 테이블에 저장해놓고, 다른 호스트에서 A라는 호스트에 데이터를 브리지는 맥 어드레스 테이블을 참고하여 전송 여부를 결정한다.
ii. Flooding : 목적지 정보가 맥 어드레스 테이블에 없다면 모든 포트로 똑같은 데이터를 전송한다.
iii. Forwarding : 목적지 정보가 맥 어드레스 테이블에 있다면 해당 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없으면 Flooding.
iv. Filtering : 브리지를 건너지 못하게 하는 기능이다. 한쪽에서 데이터를 보내면 브리지는 맥 어드레스 테이블에서 다른 쪽의 정보를 확인하고 같은 세그먼트 내에 있다면 다른 세그먼트와 연결된 브리지를 차단한다. 이러한 기능때문에 허브와 다르게 콜리전 도메인을 나눌 수 있다.
v. Aging : 어떠한 맥 주소를 테이블에 저장하면 계속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300초가 지나도록 해당 맥 주소를 가진 프레임이 들어오지 않으면 테이블에서 자동으로 삭제된다.
※ 스위치 : 처리방식이 스위치는 하드웨어, 브리지는 소프트웨어 방식이기 때문에 속도는 스위치가 훨씬 빠르다. 또한 브리지에 비해 제공되는 포트 수도 많고, 포트 별로 속도를 지정할 수 있다. 여러모로 브리지의 상위 호환 장비이므로 브리지는 현재 사용되진 않는다.
4) 라우터 : 네트워크간 데이터 전송을 위해 최적 경로(Route)를 설정하며, 이 경로를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비를 말한다. 라우터는 가격이 비싸고 초기 설정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i. 코어 라우터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의 랜이나 여러 개의 ISP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한다.
ii. 센터 라우터 - WAN 회선을 거쳐 회사의 본점과 회사의 지점을 서로 연결한다. 또,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와 기업의 네트워크와 연결할 때에도 쓰인다.
iii. 엣지 라우터 - 지점, 영업소의 네트워크를 WAN 회선에 연결하여 회사의 본점의 라우터에 접근한다.원격 라우터: 랜과 WANG을 중계한다. WAN 라우터라고도 부른다.
iv. 브로드밴드 라우터 -가정이나 작은 규모의 기업에서 브로드밴드급의 인터넷에 접속할 때 쓰인다.
'Sparta > 면접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시테이블과 이진 검색트리의 장단점 비교 (0) | 2024.04.24 |
---|---|
동기 비동기 차이, Deadlock (0) | 2024.04.23 |
그래프와 트리의 차이점/ 이진트리, 힙, 이진검색트리 설명 (0) | 2024.04.19 |
정규화, 무결성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04.18 |
http, https 차이점, OSI 7계층 (1) | 2024.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