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데미x스나이퍼팩토리] 프로젝트 캠프 : Next.js 2기 - 사전직무교육 1~2일차 후기
1. 자바스크립트 실행방법
- node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
- code runner 익스텐션을 사용하는 방법
- html 파일에서 script 태그를 사용하는 방법
- 외부스크립트 -> <script src="..."></script>
- 내부스크립트 -> <script>...</script>
- 웹 브라우저의 개발자 도구 -> Console 탭에서 작성하는 방법
2. var, let, const
var는 변수, 사용하면 안됨.
let, const : 재할당이 필요할 때는 let, 재할당이 필요없으면 const
사용방법이 어렵다면 기본적으로 const로 쓰고, 분명 재할당된 식별자 때문에 에러가 뜬다면 let으로 바꾸면 된다.
3. 자료형
1) 기본자료형 : 숫자, 문자열, 논리, 특수, 심볼
- 숫자형 :
- 문자열(형) : 따옴표로 감싸져서 문자로 표현된 것.
- 논리형 : true, false
- 특수자료형
- undefined : 선언만 하고 할당되지 않았을 때.(JS엔진이 자체적으로 생성)
- null : 개발자가 필요에 따라 의도적으로 값을 비워둔 것
- 심볼 : Symbole() : 절대로 중복되지 않는 유니크한 값을 생성함.
2) 참조자료형 : 배열, 객체, 함수
- 배열 : 여러개의 값을 묶어둔 값
- 객체 : 값을 키/밸류로 묶어둠
- 함수(function)
- function 함수명() {실행시키고 싶은 코드}
4. 연산자
1) 산술연산자(+, -, *, /, %, **(거듭제곱))
2) 증감연산자(++, --) : 1씩 증가/감소
증감연산자는 데이터에 직접 사용할 수 없고 데이터가 할당된 변수만 피연산자로 사용할 수 있다.
전치/후치 연산자로 나뉘는데, 전치는 증가/감소가 먼저 이루어지고 값을 리턴하고, 후치연산자는 증가/감소 이전에 값을 리턴한다.
// 전치
let answer = 1;
let a = ++answer; // answer 값이 증가 후 할당
console.log(answer, a); // 2, 2
// 후치
let answer = 1;
let b = answer++; // answer 값 할당 후 증가
console.log(answer, b); // 1, 2
3) 대입연산자(=), 복합대입연산자(+=, -=, *=, /=, %=)
4) 비교연산자
- 동등(==), 부등(!=)
- 일치(===), 불일치(!==)
- >, >=, <, <=
5) 삼항연산자(피연산자1 ? 피연산자2 : 피연산자3) -> 1이 참이면 2를 실행하고 거짓이면 3을 실행한다.
6) 논리연산자(and: &&, or: ||, not: !)
5. 조건문
개발자가 명시한 boolean 자료형의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에 따라 달라지는 계산이나 상황을 수행하는 문법. Javascript에서는 if문과 switch문 두가지가 있다.
1) if : 만약 ~라면
else만약 ~가 아니라면
else if : 여러개의 조건 지정 가능
if (조건1)
명령문1
else if (조건2)
명령문2
else if (조건3)
명령문3
...
else
명령문N
2) switch : case, break, default
const foo = 0;
switch (foo) {
case -1:
console.log("negative 1");
break;
case 0: // Value of foo matches this criteria; execution starts from here
console.log(0);
// Forgotten break! Execution falls through
case 1: // no break statement in 'case 0:' so this case will run as well
console.log(1);
break; // Break encountered; will not continue into 'case 2:'
case 2:
console.log(2);
break;
default:
console.log("default");
}
if문은 표현식의 비교가 가능하지만, swith문은 무조건 값이 온다.
switch문으로 작성할 수 있는건 전부 if문으로 작성이 가능하지만, 반대로는 안될 수도 있다.
본 후기는 본 후기는 [유데미x스나이퍼팩토리] 프로젝트 캠프 : Next.js 2기 과정(B-log) 리뷰로 작성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