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블완 (3) 썸네일형 리스트형 게임 개발 공부 2일차 웹서버와 다른 구조 1. 데이터 테이블 로드파일시스템을 사용하여 서버에서 필요한 데이터 테이블을 메모리에 로드할 수 있다. Node.js의 fs 모듈은 파일 시스템에 접근하고 파일을 읽고 쓰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동기적·비동기적 방식 모두로 파일 I/O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파일 생성, 읽기, 쓰기, 삭제, 수정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파일기반 작업을 가능케 한다. 데이터 테이블의 관리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DB, CDN, file 등의 형태로 관리하게 된다. file의 형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 파일을 json형식으로 제공하고 그 파일을 지정해 그 파일의 내용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1) 최상위폴더에 assets 폴더를 만들어 json파일을 넣는다. 소스코드가 아니니 src 밖에 위치한다.2).. 웹소켓을 이용한 게임 개발 공부 1일차 1. HTTP vs TCPHTTP는 비연결성 구조로 request가 없으면 response도 없다. 연결을 유지하지 않기때문에 많은 트래픽을 빠르게 처리가능합니다. 연결을 유지해야 하는 리소스를 아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stateless(무상태)를 특징으로 가진다. 이전에 일어났던 일(상태)를 저장하고 있지 않아 세션, 쿠키 등으로 해당 요청에 대한 정보를 임의로 저장해서 처리하곤 합니다. HTTP의 메세지 구조는 start-line, header, empty-line, message body로 이루어져 있고 헤더는 메세지에 필요한 모든 부가 정보를 가진다. key-value의 map구조를 가지고 있어 방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HTTP는 네트워크 7계층 중 application layer에.. 깃허브 이슈 템플릿 작성하기 이번에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깃허브 레포지토리를 생성할 일이 있었는데, 혼자 쓰는 것이긴 하지만 깃허브 이슈 템플릿을 미리 작성해두면 통일성을 기할 수 있어 편할 것 같아 이번기회에 직접 작성해보기로 했다. 1. github 레포지토리 > Settings > General 탭에서 Set up Templetes 2. 드랍다운에서 커스텀 템플릿 선택 3. Preview and edit 클릭 4. 연필 모양 수정버튼 클릭제목과 부제목을 수정한다. 이것은 이슈에 들어가면 가장 먼저 보일 것이라 잘 띄게 하는게 좋겠다. 엄청 큰 프로젝트의 경우 템플릿이 여러개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5. 마크다운으로 내용 작성다른 분들은 더 많은 내용을 썼지만, 혼자 쓰는 레포다보니 이슈가 프로젝트를 기록하는 이상의.. 이전 1 다음